ARPU, LTV
* 데이터 분석 예시
- 30대가 노트북을 샀다(x)
- 이 30대가 어떤 브랜드의 헤비 유저인가, 어떤 브랜드를 좋아하는가? 가격대는?(o)
- 회사의 타깃은? 타깃의 구매 패턴은? 마케팅 투자 시점은? 마케팅 채널은?(o)
* ARPU (Average Revenue Per User)
- 1명의 사용자가 지불한 평균 금액(생산성 지표)
- ARPU = 일매출 / DAU (Daily Active User 하루 접속 순 사용자 수(중복 없음))
예시) DAU: 10명 / 일매출 : 1,000,000원
ARPU = 1,000,000원 / 10명 = 100,000원/명
* ARPPU (Average Revenue Per Paid User)
- ARPPU = 일매출 / PU (Paid User 순수 결제 유저 수(중복 없음))
예시) DAU: 10명 / PU: 5명 / 일매출 1,000,000원
ARPPU = 1,000,000원 / 5명 = 200,000원/명
* 위 지표 해석
- 일 매출 1억을 달성하려면 DAU를 1,000명 만들면 된다.
* LTV (Life Time Value)
- 사용자 1명 당 서비스에서 이탈하기 전까지 지불하는 금액
- 사용자 당 기대 수익
- 고객 획득 비용(Acquisition Cost)은 생애가치(Life Time Value) 보다 적어야 한다.
- 즉, 고객 획득 비용이 고객이 지불하는 금액보다 높으면 '돈을 써서 모신 고객이 공짜로 이용하는 것'
- LTV = ARPU * (1 / Churn)
예시) ARPU: 100,000원 / Churn: 20%
LTV = 100,000원 * (1 / 0.2) = 500,000원
* CPI (Cost per Install : 앱 설치 당 단가)
* Churn : 달음 박질 치다. 유저 이탈 비율 = 1 - retention rate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