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렬2) 선택 정렬(Selection Sort)
* 선택 정렬
- 배열의 첫번째 데이터를 '최소값을 가진 index' 라고 가정하고 탐색 시작
- 최소값을 가진 index보다 작은 값이 나오면, 더 작은 값을 '최소값을 가진 index'라 가정 후 탐색 진행
- 이 후, 제일 앞 index번호와, '최소값을 가진 index' 번호가 다르면 스왑하여 정렬

* 시간 복잡도
try1: n - 1
try2: n - 2
...
try(n-1): 1
- 총 탐색 수 = n(n-1)/2
- O(N^2)
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