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일차) 3D 레이싱포폴(최종빌드 + 포폴 영상 + 느낀점 정리)


* 최종 빌드 포폴 영상


* 처음으로 유니티 포폴을 만들며 느낀점
- 5일간 절대강좌 책을 보며 빠르게 유니티를 따라한 뒤 바로 제작한 포폴
- 참고서 없이는 getcomponent 조차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
- 즉, '유니티' 라는 것을 맨땅에 해딩 해야 하는 상황
- 그런데, 멀티를 만들고 싶어 '서버' 를 함께 맨땅에 헤딩 하였다.
- 두가지를 함께 헤딩 하니 어느것 하나 원하는대로 구현되지 않았고, 버그 하나 해결을 위해 5시간은 기본으로 소모 한 듯
- 그 와중에 해결되지 않는것은 우회 구현과 눈속임 처리를 하였다.

- 처음만져본 '서버' 프로그래밍은 너무 재미있었다.
- 흡사 코딩을 처음하고 원하는걸 구현해 냈을때 느꼈던 쾌감과 동일 !
- 다음 도전은 사설 서버를 직접 제작하여 소켓 프로그래밍을 해보자 !

- 얼마 공부하진 않았지만, 유니티로 3D 게임을 포폴로 제작하다니... 새삼 엔진의 힘이 대단하게 느껴진다. 너무 좋은 세상
- 크게 그래픽적인 노력 없이 실시간 라이트 렌더링만으로도 좋은 때깔이 나오니 너무 뿌듯하다.
- 무엇보다 누군가 가르쳐 주는게 아닌, 책과 인터넷 서칭을 통해 스스로 해냈기에 뿌듯
- 이마에 피나도록 헤딩을 해보니, 출시 빌드를 만드는 여정에 5%정도 입문한듯?

- 만들어진 엔진(포톤 서버 엔진 포함)을 사용할땐 서칭으로 헤딩하는것 보다 사용자를 위해 제작해둔 메뉴얼을 탐독 한 후 프로젝트 제작을 해야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다.





* 영상 시나리오

1. 간략 소개
    - 내가 누군지
    - 어떤 포폴인지
         - 포폴 목적 : 유니티 엔진과 익숙해지기. 멀티 개념 잡기.
         - 개발 도구 소개 : Unity2019.03f, 포톤2네트워크, 파이어베이스, 프리미어, obs
    - 기술 소개 : 파이어베이스백엔드 > 포톤 네트워크 > 플레이 연결 설명
    - 개인 평가(별점으로, 아마... 5점 만점에 3.5정도 줄 수 있을 듯. 처음 만든 유니티, 멀티구현)

1.1.  4인 멀티플레이 짧게 보여주기

2. 타이틀 화면

3. 로그인 화면
    - 파이어 베이스 유저 메일 등록 페이지 노출
    - 로그인과 현재 상태 텍스트 설명(포톤 네트워크 상속된 오버라이드 함수 구현)
    - 마스터 서버 연결 후, 조인 버튼

4. 로비 화면(waiting room)
    - 접속 유저 표시 설명(닉네임, 선택 차량, 하단에 선택 가능 차량)
    - 다른 유저 조인 시 다른 유저의 디바이스에 링크 되는 모습
    - 레디 버튼을 누르면 인게임 화면으로 이동 설명

5. 인게임(스테이지)
    - UI 설명(뒤로가기버튼, 랩 정보 패널, 아래 미니맵, 컨트롤 버튼, 스피드 표시)
    - 이펙트 처리 설명(나무 흔들림, 버섯 스케일 조정, 차량 파티클, 위너 파티클)
    - 다른 유저 접속 모습 동기화 보여주기
    - 1번 유저 레이싱 한바퀴 보여주기
         - 전진 + 마찰(회전과 함께)
         - 후진 + 마찰(회전과 함께)
         - 주 라이트와 완전히 반되되는 라이트로 쉽게 역광 표현
    - 완주 후 변경점 설명(위너 파티클, 종료 베너, 조이스틱 디엑티베이션)
    - 뒤로가기로 스테이지 빠져 나가기

6. 4인 멀티플레이 보여주기(모바일 5개 + 2바퀴용 빌드 다시)

7. 감사 인사
     - 제작 과정 블로그 주소












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