링크드 리스트(Linked List)
리스트: 데이터 목록을 다루는 가장 단순한 자료구조
* 링크드 리스트(Linked List): 노드(데이터 + 포인터)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리스트
첫번째 노드: 헤드(Head)
마지막 노드: 테일(Tail)
1. 단순 링크드 리스트(Singly Linked List: SLL)

- 노드 구성: [데이터][포인터]
- 단방향 탐색
- 헤드부터 테일까지 순차 탐색하기 때문에 호출을 위한 비용이 크고 속도가 느리다.
- 노드의 추가, 삽입, 삭제가 편하다.
2. 더블 링크드 리스트(Doubly Linked List: DLL) <-리스트 컨테이너의 기본

- 노드 구성: [포인터][데이터][포인터]
- PrevLink: 이전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
- NextLink: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
- 양방향 탐색
3. 환형 링크드 리스트(Circular Linked List)

- 노드 구성: [데이터][포인터]
- 테일 노드가 헤드를 가리키므로 테일의 개념이 사라진다.
* 링크드 리스트(Linked List): 노드(데이터 + 포인터)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리스트
첫번째 노드: 헤드(Head)
마지막 노드: 테일(Tail)
1. 단순 링크드 리스트(Singly Linked List: SLL)
- 노드 구성: [데이터][포인터]
- 단방향 탐색
- 헤드부터 테일까지 순차 탐색하기 때문에 호출을 위한 비용이 크고 속도가 느리다.
- 노드의 추가, 삽입, 삭제가 편하다.
2. 더블 링크드 리스트(Doubly Linked List: DLL) <-리스트 컨테이너의 기본
- 노드 구성: [포인터][데이터][포인터]
- PrevLink: 이전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
- NextLink: 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
- 양방향 탐색
3. 환형 링크드 리스트(Circular Linked List)
- 노드 구성: [데이터][포인터]
- 테일 노드가 헤드를 가리키므로 테일의 개념이 사라진다.
https://paynter1127.blogspot.com/2019/08/null.html
답글삭제